About There
박 소라 Park Sora _ 신 건우 Kenxin _ 이 예림 Lee Yerim <About There>
2023. 3. 3 ~ 2023. 3. 29
--------------------------------------------------------------------------------------------------------------------------------------
박 소라 Park Sora
이해를 동반하지 못한 감상은 캔버스의 뒷면을 상기시킨다. 예술은 사라지고 미지에 머물러 있는 물체의 존재감만 확인된다. 미술작가임에도 불구하고 미술을 마주한 채 도달하게 되는 이질감은 나의 정체성을 고약하게 흔들어 놓는다. 나는 향기를 잃어버렸다. 학습된 무기력함이 쌓여서 대세에 편승하고 조용히 살아간다.
그렇게 향기와 색감은 사라지고 무향, 무채색으로 얼룩진 모양새다.
소설<향수>의 주인공 그루누이. 그의 후각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하지만 정작 그 자신에게는 체취가 나지 않는다. 그는 절망에 빠지지만 이내 세상의 모든 냄새를 기억하고 자유자재로 다루며 새로운 향을 창조해내는 능력을 발휘한다. 나는 그루누이가 되어본다.
향기를 찾아야한다. 전시장을 배회하며 다른 작가들의 향기를 수집한다. 작품을 흡수해 나의 향기로 제조하면서 나만의 세계를 펼친다.
향기에 소유란 있을 수 없다. 발원지는 명백할 지라도 한 번 퍼지기 시작한 향은 모든 이들의 후각을 자극한다. 같은 향이라도 누구에게는 기분전환이 될 수 있고, 누구에게는 거부감을 줄 수도 있다. 예술도 그런 것이지 싶다. 하나의 예술품은 누구를 막론하고 대중과 접촉한다. 하지만 이를 대하는 반응은 각양각색이다.
작가로서 한 가지 확신이 있다면, 예술은 어쨌든 사람들의 감정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끊임없이 사유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나는 세상에 지속적으로 향기를 전달하는 제조자가 되기로 한다. 감상자의 입장에서 다른 작가의 작품에 베어든 향기를 발견한다.
그 후 작가(창작자)의 위치로 되돌아와 발견된 향기를 나름의 방식으로 조합한다.
나의 작업은 그렇게 제조된 향을 다시 대중과 공유하는 일련의 순환 과정에 속해 있다.
-Artist Note
--------------------------------------------------------------------------------------------------------------------------------------
박 소라 Park Sora (B. 1991 Based in Seoul)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22 <RE: RE: RE> 혜원아트 갤러리_서울
2021 <부유하는 이미지의 사용자들> 갤러리 탐_서울
2020 <Sora's Versions> 갤러리 가이아_서울
2019 <The Versions> 래미안 갤러리_서울
2018 <What are you looking at?> 갤러리 가이아_서울
2014 <Space> 아다마스 253_파주
단체전
2022 <오늘의 회화> 아트스페이스 라프_서울
2022 <The Beginnig> 프린트베이커리 더현대 서울_서울
2021 <예술시장 다다> 은평 문화재단_서울
2021 <2021 BIAF NEW WAVE 선정 작가 특별전> 마루센터_서울
2021 <Outing of the Artists> 갤러리 나우_서울
2021 <16인 작가의 외출> 갤러리 자작나무_서울
2020 <사용자들, 예술시장 다다> -은평 문화재단- 카페 쥴레_서울
2020 <SIXTEEN> 갤러리 김현주_서울
2020 <Group 23.5도> 갤러리 가이아_서울
2020 <SUPER Collection> 슈페리어 갤러리_서울
2020 <ASYAAF After> 조선일보 미술관_서울
2019 <상상 展> 갤러리 자작나무_서울
2018 <풍경 展> 갤러리 자작나무_서울
2014 <꿈과 마주치다 展> 갤러리 일호_서울
2014 <Young Artist 展> 갤러리 이레_파주
2014 <스카우트 展> 갤러리 imazoo_서울
2013 <전야> 세종아트센터_서울
아트 페어 / 기타
2022 <더프리뷰 성수 with 신한카드> 성수동 에스팩토리_서울
2021 <BIAF 부산 국제 아트페어> BEXCO_부산
2021 <아시아프> 홍익대학교_서울
2020 <브리즈 아트페어> 한남동 안도_서울
2020 <아시아프 애프터 (우수작가 20인 선정)> 조선일보 미술관_서울
2019 <아시아프> 동대문 DDP_서울
2018 <아시아프> 동대문 DDP_서울
2014 <아시아프> 문화역 서울 284_서울
2013 <아시아프> 문화역 서울 284_서울

--------------------------------------------------------------------------------------------------------------------------------------
신 건우 Kenxin
나는 도시 공동체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있으며 표현에 힘쓰고 있다.
우리가 만들어 낸 도시 속에서 일어나는 내러티브(Narrative)를 나만의 상상력으로 새롭게 만들어 낸 무대장치와 같은 공간 속에서, 도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변모를 보여준다.
도시의 변화는 항상 발전적인 형태는 아니다. 기대가 있으면 실망도 있고 다시 기대가 있는 법.
가상과 실존의 경계에 있는 공간을 산책하는 태도로 직접 본 장소와 직접 가보지 않았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물리적 공간을 여러 각도의 건축적 요소와 제한된 색으로 재해석한다.
이것은 인위적 도시 환경을 객관적이고 담담하게 감각하는 나의 주관적 경험의 사유에 기반하여 건축적 풍경인 ‘Cityscape’를 초현실적 장면으로 연출했다.
도시가 겪는 딜레마적 상황과 인위적 환경들을 바라보는 작가의 심리적 변화를 검은색, 붉은색, 금색 등의 제한된 색들로 정적으로 표현하며 작가는 이것을 가치중립적으로 느껴지길 바라며,
‘무책임한 산책의 풍경’이라 정의했다.
-Artist Note
--------------------------------------------------------------------------------------------------------------------------------------
신 건우 Kenxin (B. 1986 based in Daegu)
인덕대학교 미디어아트&디자인과 졸업
개인전
2022 <cropper city> 갤러리오누이_서울
2022 <산책하는 마음> 미르갤러리_대구
2022 <DUAL:자기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BGN갤러리 롯데월드 타워점_서울
2021 <PRESENT> 갤러리조선_서울
2020 <건축적 풍경> YOONION ART SPACE_서울
2020 <난 한동안> 동십자각 지하보도 공사현장_서울
2019 <RETRO> Coutances Art Center_Coutances_프랑스
2019 <BOYS BE AMBITIOUS> 스페이스55 윈도우 갤러리_서울
2018 <Walking Narratives> 스페이스55 메인 갤러리_서울
2018 <Destroy the Distopia> 먼슬리_서울
2016 <셀프장례> MAKSA_서울
단체전
2022 <공동의 자아-우리가 도시를 기억하는 법> art ground hQ_울산
2022 <장생포엔 고래가 없다> 작은 미술관_울산
2022 <동시 다발전> 갤러리 모스/갤러리 초연/갤러리 가제_서울
2021 <Project B Side Metropolitan> 고양 아람누리 미술관_고양
2021 <DMZ 문화예술 삼매경:Remaker> 아트호텔 리메이커_고성
2020 <AC 1년, 그래도 괜찮은 하루> 비영리 공간 싹_대구
2020 <Open Studio> 레지던시 결과발표/수창청춘 맨션_대구
2020 <Just Modern> <모임 Gathering> 연계 팀플 교육 프로그램 참여 작가
라이브페인팅 국립현대미술관_서울
2020 <Tautology> 호리 팩토리_서울
2019 <미래의 기억들> 퐁데자르 갤러리_송추
2019 <사과나무 아래에서> Coutances Art Center_Coutances_프랑스
2019 <Art sous les Arbres1> Coutances Art Center_Coutances_프랑스
2018 <우주시계의 기운> 돈의문박물관_서울
2018 <혼종 성 그리고 혼란> R3028_서울
2017 <취향은 존재의 집> 대안 공간 눈_수원
2017 <일상을 넘어서> 이앙갤러리_서울
2017 <I, my way> 텐마인즈 하우스_서울
2016 <What Are You Doning Now> Doing_서울
2016 <Impression, Composition> 프루스트_서울
2016 <mayfly8> 산지직송작업직판장_서울
2015 <mayfly7> 서교실험예술센터_서울
2015 <공중전> 공중작업실_판교
2010 <Art Group Exhibition> the show gallery_토론토_캐나다
레지던시
2021 <과학이 일상이 들어오는 집> 사이언스월든 UNIST_울산
2020 <수창청춘맨숀> 2기 레지던시 작가_대구
2019 <Coutances Art Center> 1기 레지던시 작가_Coutances_프랑스
아트페어
2021 <Mullae One & Only Art Fair> 아트필드 갤러리_서울
2021 <을지 아트 페어> 을지트윈타워-B1_서울
2019 <ART JEJU 2019> 메종 그랜드 호텔/갤러리 퐁데자르_제주
2019 <DESIGN ART FAIR> 예술의 전당/booth 4 Artist_서울
수상 경력
2021 DMZ 문화예술 삼매경:Remaker, 선정 작가
2020 서울문화재단, 창작활동지원 A트랙 다원⋅시각, 선정 작가
2018 강원국제비엔날레 포트폴리오 리뷰 리뷰이, 선정 작가
작품 소장처
고성군 강원문화재단, 태크마린 서울, 금성철광 대구, Musée Quesnel-Morinière Coutances_프랑스, Coutances Art Center Coutances_프랑스, 갤러리 이앙 서울.

이 예림 Lee Yerim
혼자서 도시를 거니는 한 사람의 시선에서 시작하는 나의 작업은, 내가 작가가 되기 위해 회사를 그만두고 홀로 떠난 낯선 도시인 뉴욕에서 마주친 건물의 스케치에서 시작되었다.
서울이라는 대도시에서 태어나 그 곳에서 쭉 자라왔지만 도시에 대해 특별한 생각 없이 살아온 나에게 뉴욕은, 도시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이후 상하이나 방콕 등 다른 도시에서 몇 년 간 살게 되면서 나는 별다른 할 일도 없이 소요자처럼 도시를 거닐고 바라보며 지냈다. 사람들은 도시를 만들었고 필요에 의해 건물을 올렸지만 정작 사람들이 밀물처럼 밀려왔다가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도시를 지키는 것은 언제나 그 자리에서 그들을 내려다보는 건물이었다.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큰 의미를 갖는 멋진 건물도 있지만 대부분은 사람들이 일상을 보내는 특별할 것 하나 없는 건물들. 그들은 도시의 얼굴이었고 매일 나에게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사람들은 도시에서, 정확히는 건물들 사이에서 일상의 대부분을 보낸다.
무엇보다 견고하게 만들어졌고, 또 그래야만 하는 도시의 건물들. 이는 복잡한 내면을 숨긴 채, 아무렇지 않은 얼굴로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사람들의 일상과 닮아 있다고 생각한다.
견고하지만 부드러운, 직선적이지만 유기적인 선으로 얽힌 나의 그림 속 건물들은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감정을 담고 있다.
-Artist Note
---------------------------------------------------------------------------------------------------------------------------------
이 예림 (B. 1980 based in Seoul)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 디자인과 졸업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선화예술 중, 고등학교 졸업
개인전
2022 <여기보다 어딘가에> 프린트 베이커리_판교
2022 <모두들 안녕하신가요?> 갤러리 컬러비트_서울
2021 <City Trip> 병원 안 갤러리_이천
2021 <모두들 안녕하신가요?> 갤러리 마롱_서울
2020 <Her Lego City> BGN 갤러리_서울
2020 <소요자의 도시> 갤러리 두_서울
2020 <Village> 갤러리 다온_서울
2019 <소요자의 도시> 롯데타워 BGN 갤러리_서울
2019 <Close Moment> 아트 247_서울
2018 <홈타운> 아티온_서울
2018 <갤러리탐 공모 선정 개인전/City Landscape> 갤러리 탐_서울
2018 <Landscape> 갤러리 백희_전주
2016 <이예림 초대전> GS 타워 더 스트릿 갤러리_서울
2013 <Drawing & City> 아뜰리에 터닝_서울
2013 <Wall Project> 유중 아트센터 신진작가 선정/ 유중 아트센터_서울
2013 <신진작가 공모 선정 개인전> 팔레 드 서울 갤러리_서울
2012 <도심 발견:NY전> 대안 공간 충정각_서울 외
ᅠ
단체전
2022 <일인칭 단수-8개의 이야기> 이음더 플레이스_서울
2022 <을삼의조 vol.5> 돈화문갤러리_서울
2022 <10에서 50:선물> 뮤즈 세움 갤러리_ 울산
2022 <찬란한 나의 도시> 삼정갤러리_부산
2022 <작은 것의 아름다움> 갤러리 M9_서울
2022 <성수 랜드> 콜라스트_서울
2022 <인기작가전 '고공행진'> 갤러리두_서울
2021 <을삼의조 vol.4 Restart> 갤러리마롱_서울
2021 <중견작가 집중조명전> 돈화문 갤러리_서울
2018 <을삼의조 vol.3 Restart> 아티온_서울
2018 <아트마이닝-서울 2018> DDP_서울
2018 <C-페스티벌 '별의 길을 걷다'> 코엑스_서울
2015 <LANDMARKS - A GLORIOUS DREAM 展> 63 스카이아트 미술관_서울
2015 <떠나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展> 네이버 사옥_경기도
2015 <기억의 속도 2114> 아뜰리에 터닝_서울
2014 <ON THE GROUND> 팔레드 서울 갤러리_서울
2014 <Yi Gallery 기획전> Yi Gallery_상하이_중국
2013 <선선한 하루 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술관_서울
2012 <작가공모 선정/새로운도약展> 청작화랑_서울 외 다수
ᅠ
작품 소장처
서울동부지방법원, (주)탐앤탐스, 호텔 프린스, 충무빌딩, 생각하는 박물관, 바테브로트 카페 외






www.gallerymhk.com / @gallerymhk / mhkart@gallerymhk.com / +82 2 737 2785